세상은 어느새 은밀한 기준을 하나씩 내놓고 있습니다

맛있는 것, 예쁜 것, 멋진 것, 보기 좋은 것반대로 못난 것, 보기 싫은 것, 맛없는 것 등의 기준이 공식처럼 일반화 되어 있죠. 

이 공식에 밀려난 자들을 우리는 열등인, ‘루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루저는 자신이 되고 싶지 않다고 발버둥친다고 안 되는 것도 아닙니다. 위에 말한 은밀한 기준에 조금씩 밀리다보면 어느새 자기도 모르게 되어 있는 것이바로 루저이죠. 그렇게 평범한 개인의 존재가 다수의 횡포에 의해 루저로 불리게 되는 불행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죠.


 


영화 뚱보가 세상을 지배한다의 제목은 그래서 더 특별합니다. 뚱뚱해서 루저가 되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많이 접해봤지만 이렇게 적극적인 제목은 처음인데요. 제목만 본다면 마치, 뚱보들이 지배하는 나라가 펼쳐지는 새로운 그들만의 유토피아를 그린 스토리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제목은 그저 거대한 비유일 뿐이죠. 그리고 영화를 끝까지 보게 되면 제목의 의미가 매우 잘 드러납니다




어쨌든 뚱보는 현대에서는 용납하기 힘든, 부적응자, 루저, 심하게 말하면 외계인에 속합니다

이 외계인들은 조금은 끔찍한 첫 장면처럼 인간들의 삶에 적응하기 위해 늘 괴로움과 분투하고 있는데요

영화는 이런 외계인들에게 비현실적인 희망대신 실질적이고 냉정한 시선을 보여줌으로써 조금 더 현실적입니다. 무작정 희망을 외치기보다는 뚱뚱한 트로이의 삶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뚱뚱한 트로이의 삶이 진짜 외계인의 삶일까 하는 것에 대한 물음을 던져주기도 하죠.

감독의 이름은 매튜 릴라드. 이름이 낯설 것입니다. 그럴 것이 그는 감독이 아닌 배우로 삶을 살던 인물이었쬬. <스크림>,<13고스트>등 흥행한 영화에도 꽤 출현한 배우로써, 그의 디렉터적인 면모가 발견된 건 비교적 최근입니다. 그럼에도 개성 있게 장면들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나름 나쁘지 않은 출발을 한 것 같네요. 아직 성가신 부분이 없지는 않으나 앞으로 그의 행보를 기대해 봐도 될 것 같습니다.





이 영화는 꽤 유명한 원작이 있습니다원작 제목도 영화 제목과 같죠

다시 영화로 돌아가서 영화의 첫 장면은 매우 파격적입니다

버스 정류장에 있던 뚱보 트로이가 갑자기 느닷없이 도로로 뛰어들어 달려오는 버스에 쾅, 부딪칩니다. 그리고 매우 비현실적으로 핏물이 사방에 튀기죠.

마치 토마토 축제의 일부를 연상시키는 장면인데, 이런 장면들에서 감독의 개성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하여간 이 장면은 현실이 아닌 트로이의 내면인 셈이죠. 이 후로도 트로이의 내면은 꾸준히 등장합니다

모든 여자를 성적으로만 생각하는 음흉한 상상들과 자신의 몸을 함부로 해하고 싶은 끔찍한 장면들이 화면에 펼쳐집니다

물론 그것들은 그저 상상일 뿐이죠. 하지만 이 첫 장면이 꽤 흥미롭다. 그 상상은 곧 실천으로 다시 이어지는데요

그리고 더 재미있는 것은 겨우 용기를 낸 첫 자살 실천이 마커스라는 퇴학당한 양아치 녀석 때문에 물거품이 되었다는 것이죠

이 장면은 가장 의미 있기도 합니다. 마지막 장면과 정확하게 대비되는 장면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제목을 통한 작가의 의도를 말해주기 위한 복선처럼 느껴지기도 합니. 마커스의 행동은 트로이가 원한 게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영화 말미에는 이 상황이 완전 반대가 되죠. 마약에 찌든 마커스를 트로이가 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도 마커스가 원한 게 아니었죠. 그저 마커스 자신이 트로이를 구했듯 트로이가 역으로 마커스를 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뭐 상징적으로 보자면 그 장면은 일종의 구원으로도 해석해볼수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마커스는 어떻게 보면 트로이가 갈망하고 있는 내면의 거울과도 같은 존재인지도 모릅니다

그 내면의 거울을 결국 자신 스스로가 구한 것이죠. 타인을 구한 행동이기는 하지만 그건 결국 스스로의 구원인 것입니다.


 



영화는 시각적으로 완전히 대비되는 마커스라는 인물의 심리와 트로이의 심리를 자꾸 비쳐주면서 진행됩니

억압을 표출하는 자유로운 영혼 마커스와 아버지에게 통제 당하는 트로이는 결국 스스로 봉합하고, 그 과정에서 그 방법을 나름대로 찾습니다

이게 영화의 핵심이며 제목 뚱보가 세상을 지배한다의 의도라고 생각됩니다.

이 영화는 흔히 말하는 힐링이나 성장영화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꽤 좋은 연출과 화법으로써 그 이상을 이야기 할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뚱보가 아닐지라도 누구에게나 같은 아픔은 존재한다, 결국 그것을 이겨내느냐 못 이겨내느냐는 내면이 어떤 것을 지배하는 가에 따른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죠. 그것을 확인시켜 주듯, 영화에서도 이런 대사가 두 번이나 나오기도 합니다.

네가 원하면 있어!”

열등감에 쌓인 파도치는 청소년기의 고민을 안고 있다면 이 영화 한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Recent posts